우리는 물을 사용합니다. 그 사용 용도에는 씻고, 먹고, 세척하는 용도로 사용되는데요. 이렇게 사용된 물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아시나요? 아마 많은 분들이 하수처리장으로 간다고 알고 계실 텐데요. 이번에는 하수처리장에서 처리된 물을 감시하는 수질원격감시체계 TMS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수질 TMS 란?
수질원격감시체계인 수질 TMS를 쉽게 풀어서 말씀드리자면 하수처리시설, 폐수처리시설의 수질을 실시간으로 관리 또는 점검하는 감시 시스템을 말합니다.
수질 TMS 목적
- 방류 수질을 실시간으로 확인 후 수질 오염 사고를 예방.
- 사업장에서 수질을 분석 또는 관리하여 자체 공정 개선 유도.
- 빠르고 정확한 수질 파악 및 합리적인 배출 부과금 산정.
TMS 측정기기 부착 기준 및 시기
TMS 측정기기는 하수 및 폐수처리시설 따라 부착 및 시기가 다른데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표를 참고해 주세요.
사업장(시설) | 부착기준 | 부착시기 |
공공하수처리시설 | 처리용량 700m^3/일 이상 |
- 사용공고 전 - 처리용량 증가로 대상 사업장이 된 경우 사용공고 날부터 9개월 이내 |
공공폐수처리시설 | 처리용량 700m^3/일 이상 |
- 설치완료 전 - 처리용량 증가로 대상 사업장이 된 경우 다음 연도 9월말까지 |
1 ~ 3종 사업장 | 폐수배출량 200 m^3/일 이상 |
- 가동개시 신고 일부터 2개월 이내 - 폐수배출량 증가로 대상 사업장이 된 경우 변경허가(신고)일로 부터 9개월 이내 • 제3종 사업장의 경우에는 '08.10.1 이후 배출허용기준 초과 통보받은 날부터 9개월 이내 |
공동방지시설 | 처리용량 200m^3/일 이상 |
|
폐수수탁처리업 | 1. 공공수역 폐수 직접 방류 (1~5종) 2. 공공하폐수 처리시설 유입처리(1~3종) |
시설별 부착 대상 측정기기 및 부대시설
사업장 | 수질자동측정기기 | 부대시설 | 적산 전력계 |
적산유량계 | ||||||
pH | TOC | SS | TN | TP | 자동시료채취기 | 자료수집기 | 용수 | 하수•폐수 | ||
1~3종 사업장 |
○ | ○ | ○ | ○ | ○ | ○ | ○ | ○ | ○ | ○ |
4종 사업장 | ○ | ○ | ○ | |||||||
5종 사업장 | ○ | ○ | ||||||||
제5종 사업장 (특정수질유해물질 폐수배출량 30㎥/일 이상) | ○ | ○ | ○ | |||||||
공동방지시설 (200㎥/일 이상 처리용량) | ○ | ○ | ○ | ○ | ○ | ○ | ○ | ○ | ○ | ○ |
공동방지시설 (200㎥/일 미만 처리용량) | ○ | ○ | ○ | |||||||
공공폐수처리시설 (700㎥/일 이상 처리용량) | ○ | ○ | ○ | ○ | ○ | ○ | ○ | ○ | ||
공공폐수처리시설 (700㎥/일 미만 처리용량) | ○ | |||||||||
공공하수처리시설 (700㎥/일 이상 처리용량) | ○ | ○ | ○ | ○ | ○ | ○ | ○ | ○ | ||
폐수처리업자 | ○ | ○ | ○ | |||||||
폐수 수탁처리업자 (부착기준 해당사업장) | ○ | ○ | ○ | ○ | ○ | ○ | ○ | ○ | ○ | ○ |
마치며
이번에는 수질 TMS 부착 기준 및 시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업계 종사하시는 분들은 참고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